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

요양보호사 vs 생활지원사: 차이점 및 역할 비교

by 가이드101 2025. 2. 9.
반응형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 돌봄 서비스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요양보호사생활지원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두 직업은 모두 노인 돌봄과 관련이 있지만, 업무 범위, 자격 요건, 지원 대상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요양보호사와 생활지원사의 차이점, 역할, 자격 요건 및 자격시험 정보 등을 상세하게 비교하여 정리하겠습니다.

Image by Gerd Altmann from Pixabay

 

1. 요양보호사란?

요양보호사는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따라 노인 및 장애인 등의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전문 인력입니다. 요양보호사는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어르신을 대상으로 신체 및 가사 지원을 수행하며, 시설과 가정에서 모두 근무할 수 있습니다.

✅ 제공하는 서비스

참고: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령 및 보건복지부 요양보호사 업무지침

  • 신체 지원: 식사, 목욕, 옷 갈아입기, 배변 보조 등
  • 가사 지원: 청소, 세탁, 식사 준비 등
  • 정서 지원: 말벗, 산책 동행, 심리적 안정 제공
  • 의료 지원 보조: 복약 지도, 병원 동행 등
  • 시설 내 돌봄 서비스 제공: 요양원, 주간보호센터 등에서 상주하며 서비스 제공

❌ 제공하지 않는 서비스

참고: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4조 및 시행규칙

  • 의료 행위(주사, 혈압 측정 등)
  • 전문 재활 치료
  • 정신 건강 상담 및 심리 치료

✅ 자격 요건 및 자격시험

  • 요양보호사 1급 자격증 필수
  • 보건복지부 지정 교육기관에서 240시간 교육 이수 후 국가시험 합격
  • 필기 및 실기 시험으로 구성
  • 필기시험: 요양보호 개론, 기본 요양 기술, 관련 법규 등
  • 실기 시험: 기본 돌봄 기술 및 응급 상황 대응 능력 평가

✅ 근무 형태 및 급여 수준

  • 방문 요양: 노인의 가정을 방문하여 돌봄 서비스 제공
  • 시설 요양: 요양원, 복지관, 병원 등에서 근무
  • 가족 요양: 가족이 요양보호사 자격을 취득한 후 돌봄을 제공하는 경우, 장기요양기관에 소속되어야 하며 일정 요건을 충족해야 함.
  • 급여 수준: 월 평균 230~280만 원(2025년 기준, 근무 형태 및 지역에 따라 차이 있음)

2. 생활지원사란?

생활지원사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일환으로 돌봄이 필요한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인력입니다. 생활지원사는 장기요양등급을 받지 않은 노인을 지원하며, 신체적인 직접 돌봄보다는 정서적 지원 및 생활 보조에 집중합니다.

✅ 제공하는 서비스

(참고: 보건복지부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운영 지침)

  • 안전 확인: 정기적인 방문 및 전화로 건강 상태 체크
  • 사회 참여 지원: 여가 및 문화 활동 지원
  • 생활 보조: 장보기, 청소, 식사 배달 등
  • 정서 지원: 말벗 서비스 제공
  • 응급 대응: 응급 상황 발생 시 기관 및 가족 연락
  • IoT 기반 돌봄 서비스 활용: 스마트 센서를 활용한 실시간 건강 모니터링

❌ 제공하지 않는 서비스

(참고: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업 지침)

  • 신체적 돌봄(목욕, 배변 보조 등)
  • 의료 보조(병원 동행 포함)
  • 지속적인 가사 지원(일반적인 가사도우미 역할 불가)

✅ 자격 요건 및 자격시험

  • 특별한 자격증 요구 없음
  •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시하는 생활지원사 양성 교육 과정 이수 필수
  • 요양보호사 자격이 있으면 우대 가능
  • 자격시험 없음, 교육 과정 수료 후 평가를 통해 선발됨

✅ 근무 형태 및 급여 수준

  • 주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기관(사회복지관, 노인복지센터 등)**에서 근무
  • 한 가구당 일정 시간 동안 돌봄 서비스 제공(1일 3~4시간)
  • 급여 수준: 월 평균 180~220만 원(2025년 기준, 근무 형태 및 지역에 따라 차이 있음)

3. 요양보호사 vs 생활지원사 비교

구분 요양보호사 생활지원사
대상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노인 일반 노인 (장기요양등급 없음)
제공하는 서비스 신체 돌봄, 의료 보조, 가사 지원 정서 지원, 안전 확인, 생활 보조
제공하지 않는 서비스 의료 행위, 재활 치료, 정신 건강 상담 신체 돌봄, 의료 보조, 지속적인 가사 지원
자격 요건 요양보호사 자격증 필수 별도 자격증 필요 없음, 교육 이수 필수
자격시험 필기 및 실기 시험 필요 자격시험 없음, 교육 이수 후 평가
근무 장소 요양시설, 가정 방문, 장기요양기관 복지관, 노인돌봄센터 등
서비스 성격 신체 돌봄 중심 생활 보조 및 정서 지원 중심
제공 시간 하루 최대 12시간까지 가능 하루 3~4시간 이내 조정 가능
급여 수준 월 230~280만 원 월 180~220만 원

📌 어떤 직업을 선택해야 할까?

  1. 전문적인 신체 돌봄을 원하는 경우 → 요양보호사
    •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적인 돌봄 서비스 제공
    • 신체 활동 보조 및 의료 보조 지원 가능
    • 요양보호사 자격증이 필요하므로 자격증 취득 후 취업 가능
  2. 일반적인 생활 지원과 정서적 돌봄을 원하는 경우 → 생활지원사
    • 신체 돌봄이 아닌 말벗 서비스, 생활 보조 등의 지원 업무 중심
    • 특별한 자격증 없이 교육 이수 후 근무 가능
    • 노인맞춤돌봄서비스와 관련된 복지 기관에서 활동 가능

📌 관련 태그

#요양보호사 #생활지원사 #노인돌봄 #노인복지 #사회복지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정부지원 #장기요양보험 #노인돌봄비교 #복지정책 #요양보호사시험 #생활지원사자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