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혜택

2025년 청년 주거 지원 정책 총정리!

가이드101 2025. 2. 13. 22:23
반응형

청년들의 주거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가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했습니다.
2025년에는 청년전세임대주택, 청년월세지원, 청년주거안정 월세대출 등의 정책이 시행되거나 확대됩니다.

오늘은 이 세 가지 청년 주거 지원 정책에 대해 아주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신청 대상, 지원 내용, 조건, 신청 방법까지 모두 확인해 보세요!

사진: Unsplash 의 Anne Nygård

1️⃣ 청년전세임대주택

📌 LH가 보증금을 지원해 주는 전세임대주택!

✅ 지원 대상

  • 만 19세~39세 이하 무주택 청년
  • 기초생활수급자, 보호 종료아동,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소득이 중위소득 100% 이하인 청년

✅ 지원 내용

  • 보증금 최대 1억 원까지 지원 (지역별 차등)
  • 청년이 직접 전세 주택을 구하면 LH가 계약하고 저렴한 임대료로 제공
  • 보증금 100만 원 + 월 임대료 1~2% 수준만 부담

✅ 신청 방법

  1. LH 청약센터 온라인 신청
  2. 소득 및 자산 심사 후 대상자 선정
  3. 지원 대상자로 선정되면 직접 전셋집을 구하고 계약 요청

✅ 제한 조건

  • 신청자의 소득이 중위소득 100% 이하여야 함
  • 재산 기준 1억 2,200만 원 이하
  • 본인 소유 주택이 없어야 함

2️⃣ 청년월세지원

📌 청년에게 월세를 지원해 주는 정책!

✅ 지원 대상

  • 만 19세~34세 이하 무주택 청년
  • 본인 소득 중위소득 60% 이하
  • 원가구(부모 포함) 소득 중위소득 100% 이하

✅ 지원 내용

  • 월 최대 30만 원 지원 (최대 12개월)
  • 최대 360만 원 지급 가능
  • 직접 지급되는 방식이 아닌, 월세 납부 후 환급 방식

✅ 신청 방법

  1. 복지로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
  2. 소득·자산 심사 후 대상자 선정
  3. 대상자로 선정되면 매월 지원금 지급

✅ 제한 조건

  • 소득 기준:
    • 본인 소득 중위소득 60% 이하 (1인 가구 기준 월 1,435,208원 이하)
    • 원가구 소득 중위소득 100% 이하 (부모 포함 1인 가구 기준 월 2,392,013원 이하)
  • 재산 기준:
    • 청년 1억 2,200만 원 이하
    • 원가구 4억 7,000만 원 이하

3️⃣ 청년주거안정 월세대출

📌 정부가 월세를 대신 내주고 청년이 상환하는 정책!

✅ 지원 대상

  • 만 19세~34세 이하 무주택 청년
  • 본인 소득 중위소득 60% 이하
  • 임차보증금 5,000만 원 이하 / 월세 70만 원 이하 주택 거주자

✅ 지원 내용

  • 월 최대 150만 원 대출 가능 (최대 1,800만 원)
  • 이자율 1~2%대로 저렴
  • 상환기간 최대 10년 (5년+연장 가능)

✅ 신청 방법

  1.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
  2. 소득 및 자산 심사 후 대상자 선정
  3. 대출 승인 후 은행 방문하여 대출 실행

✅ 제한 조건

  • 소득 기준:
    • 본인 소득 중위소득 60% 이하 (1인 가구 기준 월 1,435,208원 이하)
  • 재산 기준:
    • 총 재산가액 2억 9,200만 원 이하
  • 대출 금리:
    • 기초수급자/차상위계층 연 1.0%
    • 일반 청년 연 1.5~2.0%

마무리하며…

2025년에는 청년들을 위한 주거 지원 정책이 더 확대됩니다.
✔️ 전세 보증금이 부담된다면?청년전세임대주택 활용!
✔️ 월세 부담이 크다면?청년월세지원 신청!
✔️ 월세를 정부 대출로 해결하고 싶다면?청년주거안정 월세대출 활용!

본인의 상황에 맞는 지원 정책을 놓치지 말고 꼭 신청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