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원&혜택

2025년 에너지바우처 완벽 가이드: 여름엔 시원하게, 겨울엔 따뜻하게!

by 가이드101 2025. 4. 20.

혹시 요즘 전기세 고지서 보면서 깜짝 놀라셨나요?
“이렇게 아껴 썼는데 왜 이렇게 많이 나왔지?”
“보일러는 최소로 돌렸는데도 한숨이 나오네…”

하지만 이런 걱정, 이제는 조금 줄이셔도 괜찮습니다.
정부에서 지원하는 ‘에너지바우처’ 제도만 잘 챙기면,
여름에도 덜 덥고, 겨울에도 덜 춥게 보내실 수 있으니까요.
2025년 에너지바우처, 누가 받을 수 있고, 얼마나 받을 수 있으며, 어떻게 신청하고 사용하는지
이 글 하나로 쉽고 빠르게 정리해 드립니다!

사진: Unsplash 의 Hanindito Prabandaru

☀️ 에너지바우처란 무엇인가요?

에너지바우처는 취약계층의 에너지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복지정책입니다.
쉽게 말해, 더위와 추위로부터 누구도 소외되지 않도록
정부가 **여름철 냉방비, 겨울철 난방비를 바우처(쿠폰 형태)**로 지원해 주는 제도예요.

이 바우처는 현금으로 주는 게 아니라,
전기세나 연료비에서 자동으로 차감되거나,
지정된 에너지 비용 결제에 사용할 수 있는 전용카드 형태로 주어집니다.


🧾 어떤 혜택이 있나요?

2025년에도 에너지바우처는
여름 바우처(전기요금) + 겨울 바우처(난방비) 두 가지로 나뉘어 지원됩니다.

  • 여름 바우처: 7월~9월 전기요금 지원 (선풍기, 에어컨 사용 시 요금 차감)
  • 겨울 바우처: 11월~익년 4월까지 도시가스, 연탄, 등유, 지역난방비 지원

이 두 가지 혜택을 모두 받기 위해서는 신청기간 내에 꼭 신청하셔야 합니다.

사진: Unsplash 의 Linh Ha

👨‍👩‍👧‍👦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자격요건은 아래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 1. 대상 가구 요건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해야 합니다.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 차상위계층으로 확인된 가구

✅ 2. 가구 내 취약 구성원 포함

가구원 중 아래 대상자가 1명 이상 포함되어야 합니다.

  • 65세 이상 노인
  • 만 6세 이하 아동
  • 장애인 등록자
  • 임산부
  • 중증질환자, 희귀 난치질환자
  • 한부모가정 보호자

🔍 예를 들어,

  • 70대 노부부가 기초생활 수급자일 경우 → 지원 대상 맞음
  • 차상위계층 가정에 장애인 자녀가 있는 경우 → 지원 대상 맞음
  • 맞벌이 부부만 있는 30대 2인 가구 → 지원 대상 아님

사진: Unsplash 의 Rod Long

📅 신청 및 사용 기간은?

정확한 2025년 일정은 정부 공식 발표를 따라야 하지만,
예년과 크게 다르지 않다면 아래처럼 진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구분 신청기간 사용기간
여름 바우처 2025년 5월~8월 말 2025년 7월~9월
겨울 바우처 2025년 10월~12월 말 2025년 11월~2026년 4월

한 번 신청하면 여름·겨울 둘 다 자동으로 지원되므로,
꼭 여름 신청기간 안에 챙겨두는 것이 유리합니다.


💰 얼마를 지원받나요?

지원 금액은 가구원 수와 취약성 정도에 따라 다릅니다.
2024년 기준을 바탕으로 예측하면, 다음과 같은 지원이 이뤄질 수 있어요.

가구 유형 여름 지원 겨울 지원 합계
1인 가구 약 11,000원 약 98,000원 약 109,000원
2인 가구 약 145,000원 약 156,000원 약 167,000원
3인 이상 약 152,000원 약 164,000원 약 175,000원

💡 **중복 취약요소(예: 장애+고령)**가 있을 경우,
추가 지원이 가능하니 꼭 확인해 보세요.

사진: Unsplash 의 Simon Berger

🛠️ 어떻게 신청하나요?

🔹 1. 온라인 신청

  • 복지로 홈페이지(www.bokjiro.go.kr) 접속
  •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로그인
  • ‘에너지바우처 신청’ 메뉴 클릭 후 진행

🔹 2. 주민센터 방문 신청

  • 가까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 신분증과 도장 지참 후 담당자에게 신청 요청
  • 보통 현장에서 10분 이내로 신청 완료 가능

💬 온라인이 익숙하지 않거나
인터넷이 불편하신 분들은 주민센터 방문이 가장 쉬워요!


💳 바우처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에너지바우처는 현금처럼 쓸 수 있는 게 아니라,
지정된 방식으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전기요금 자동 차감

  • 여름철에는 한국전력 고지서에서 바우처 금액이 자동 차감
  • 별도 카드 없이 전기세 계산 시 자동 적용됨

🔸 연료구매 카드 지급

  • 도시가스, 등유, 연탄, LPG 등은 전용 카드 발급
  • 해당 카드로 지정된 주유소, 판매처에서 결제 가능
  • 사용기한 내 미사용 시 자동 소멸되므로 주의!

사진: Unsplash 의 Erik Mclean

🧊 이런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 혼자 지내시는 어르신 부모님
  • 장애인 자녀를 둔 가족
  • 저소득층 가구로 에너지비 부담이 큰 경우
  • 더위와 추위에 취약한 아이가 있는 가정

이런 분들은 스스로 정보를 찾기 어렵거나
신청이 번거로워서 놓치기 쉬워요.
가족이나 이웃이 도와 함께 신청해 드리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 꼭 알아두세요!

  1. 바우처는 사용기한이 지나면 소멸됩니다.
  2. 신청만 해놓고 사용하지 않으면 지원받은 효과 없음!
  3. 자격요건에 변동이 생기면 다시 신청하거나 변경해야 함
  4. 지원 금액은 매년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 확인 필수

사진: Unsplash 의 Ashkan Forouzani

💌 마무리 한마디

한여름 무더위에 선풍기조차 아끼던 시절,
한겨울 찬방에서 전기장판 하나에 의지하던 기억이 있으신가요?

2025년 에너지바우처는
그런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기 위한 작지만 큰 정책입니다.
꼭 필요한 분들이 놓치지 않고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에너지비 때문에 아끼고 참기보다는,
이런 제도를 잘 활용해서 더 건강하고 안전한 계절을 보내세요.

우리의 겨울과 여름이 조금 더 따뜻하고 시원해질 수 있도록요.